반응형

웹사이트나 블로그를 개설하고 난 뒤 사람들은

구글 서치 콘솔,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등에 

주소를 등록합니다.

 

저도 이전에 다른 블로그를 개설하면서 해본 적이 있습니다.

그때는 구글 서치 콘솔이나 그에 필요한 RSS, 사이트맵이

무엇인지 개념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고 그냥 따라 하기만 했는데

이번에 새로 블로그를 개설한 김에 간단하게라도 아는 것이 좋겠다!

싶어 글 남깁니다.  

 


· 구글 서치 콘솔 (이전 명칭 : 구글 웹마스터 도구)

 

구글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구글을 통해 검색을 했을 경우 웹사이트들이 어떻게 보이는지, 어떻게 점검해야 하는지 도와주기 위한 도구입니다.

 

굳이 구글 서치 콘솔에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를 등록하지 않아도 검색 결과에 포함되긴 하지만 등록한다면 노출 횟수는 물론이고 크롤링 가능 여부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는 것이 좋겠죠.

 

아래 내용은 구글 고객센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색인 생성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콘텐츠나 업데이트된 콘텐츠의 색인을 다시 생성하도록 요청합니다.
  • 사이트의 Google 검색 트래픽 데이터(Google 검색에 사이트가 표시되는 빈도, 사이트를 표시하는 검색어, 검색 사용자가 검색어를 클릭하여 연결하는 빈도 등)를 확인합니다.
  • Google이 사이트에서 색인 생성, 스팸 또는 기타 문제를 발견하는 경우 알림을 수신합니다.
  • 내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사이트를 표시합니다.
    AMP, 모바일 사용 편의성, 기타 Google 검색 기능 관련 문제를 해결합니다.

 

구글 (이미지 출처 : pixabay)


2.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구글 서치 콘솔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되는데

마찬가지로 등록을 위해서 웹사이트의 RSS를 필요로 합니다.

 


3. RSS (rich site summary · really simple syndication · RDF site summary)

 

RSS는 신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빠르고 쉽게 제공하기 위한 xml 기반의 콘텐츠 배급 포맷입니다.

업데이트가 잦은 웹사이트나 블로그 등에서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자동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식을 말하죠.

 

주로 구독에 비유를 합니다.

사이트를 방문하지 않아도 구독자들에게 이를 알리는 서비스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익숙한 아이콘 (이미지 출처 : pixabay)


4.  사이트맵

 

사용자나 크롤러 (검색 엔진 봇)가 웹사이트를 이용할 경우 해당 사이트에서 들어갈 수 있는 페이지 목록.

웹사이트의 구조를 보여줌과 동시에 사용자, 검색 엔진이 원하는 페이지를 찾을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웬만한 홈페이지들은 대부분 사이트맵이 존재하며 쉽게 찾아볼 수 있죠.

 

반응형

'기록장 >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 작업 표시줄 최근 항목 설정 끄기  (0) 2022.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