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언 맨 (Iron Man,2008)
출연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제프 브리지스, 테렌스 하워드, 귀네스 펠트로
* 스포일러가 다소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화 아이언맨은 미국 마블 코믹스 동명의 원작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히어로 영화입니다.
이제는 너무나 유명해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의
첫 작품이자 첫 발걸음이 된 작품으로
그야말로 기념비와 같은 영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와 달리 개봉 당시엔 현재만큼의 위상을
지니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아이언맨 홍보를 위해 내한했을 때는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를 알아보는 사람이 없다시피 했고
촬영 자체도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았다는 비하인드가 있죠.
여러모로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감독인 존 패브로가
아이언맨 역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와 협의하고
수정해가며 만든 결과물은 그런대로 훌륭했습니다.
(감독인 존 패브로는 이후 MCU에서 맡은 역할로
더 익숙할지도 모르겠네요.)
여타 히어로 영화와 같이
아이언 맨이라는 영웅의 탄생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야기 전체를 보면 영웅 탄생의 계기, 주변의 조력자들과 빌런까지
틀만 보면 일반적인 히어로 영화와 큰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주인공 토니 스타크는 히어로들 중에서도 고유의 매력이 상당한 캐릭터죠.
토니 스타크는 군수 방위 산업체 스타크 인더스트리의
공동 CEO이자 천재 공학자입니다.
이런 그에게도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으니
바로 난봉꾼 기질이 다분하다는 것.
또한 자기가 잘났다는 것을 너무도 잘 알고 있었지만
주위에 적을 많이 만든다는 것이 문제였죠.
이렇게 토니의 극적인 심적 변화를 이끈 인물은
절친 로드, 신뢰하는 비서 페퍼, 직장 동료 오베디아 스탠도 아니었습니다.
토니보다 앞서 테러 조직에 피랍되어 있던 호 인센이라는 인물이죠.
가슴팍에 치명적인 부상을 입은 토니를 구해준 생명의 은인이자
인생의 새로운 마음가짐을 심어준, 만남은 짧았지만 토니에게 가장 영향력을 발휘한
사람이기도 합니다.
사업가 토니 스타크에서 영웅 토니 스타크로 변모하는 과정 자체엔 급작스레
바뀌었다는 비판도 존재합니다만 처음 맞이해보는 생명의 위기, 본인이 개발한 무기의 살상력
을 본인이 몸소 체험하는 등 변화의 계기는 충분했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토니의 가치관은 바뀌었을지 언정, 과감한 성격은 그대로였거든요.
아프가니스탄에서 무사히 돌아오자마자 CEO라는 사람이 한 번의 협의 없이
독단으로 정체성이나 다름없는 사업에서 손을 떼겠다는 폭탄 발언을
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상상할 수 없는 기행이죠.
악역은 전체적으로 치밀한 캐릭터로 묘사되는데 갑작스레 밑천을 드러내는 등
초반부와 중반부 이후로 앞 뒤가 맞지 않는 행보를 보여주는 것이 아쉬웠습니다.
히어로 영화에 있어 최고 하이라이트는
히어로가 탄생하는 순간, 빌런과의 결전이라고 생각합니다.
아프가니스탄 탈출 이후 본격적인 아이언 맨 슈트의
제작, 장착 과정은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마치 히어로보단 어린 시절 변신 로봇 장난감을 보던
당시의 설렘과 두근거림을 다시 느낄 수 있었달까요?
본작의 빌런인 아이언 몽거는 거대한 거체를 자랑하며
무시무시한 능력을 보여줬지만
영화 자체의 전투씬은 조마조마한 상황에 비해
다소 밋밋하고 박진감이 떨어지는 편이었습니다.
비록 시나리오의 탄탄함과 깊이는 부족한 편이지만
아이언 맨의 탄생을 그린 작품으로썬 더할 나위 없는 영화였습니다.
무엇보다 본작 이후 MCU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다진
토니 스타크의 이야기는 몇 번이고 볼 가치가 있습니다.
MCU 영화의 스토리 연결에 있어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은 쿠키 영상은 아이언 맨에서부터 존재했습니다.
아이언 맨의 쿠키는 이야기는 이제 시작이고 본 영화는 초석에 지나지 않는다는 느낌인 것 같아요.
쿠키 영상 요약
토니 스타크의 집에 느닷없이 찾아온 닉 퓨리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는 히어로는 아이언 맨만이 아니라며 어벤저스를 언급합니다.
